국내주식

LG 디스플레이 최근 실적 및 전망 분석

THEJANG 2025. 8. 11. 11:38
반응형

LG디스플레이 4분기 스냅샷

최근 4개 분기 수치를 한 표로 모으고, 현재 밸류 지표(PER·PBR·EV/EBITDA·ROE)와 함께 앞으로의 방향성을 간단명료하게 정리했습니다. 핵심은 OLED 중심 체질 개선이 숫자로 가시화되는지, 그리고 하반기 수요와 제품 믹스가 실적 턴에 어떤 속도를 붙여주는가입니다.

최근 4개 분기 실적(연결, K-IFRS)

단위는 ‘억원’ 기준입니다(1조 원 = 10,000억원). ‘참고’의 칩을 누르면 원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기간 매출(억원) 영업이익(억원) 당기순이익(억원) 참고
2024년 3분기 68,213 -806 -3,381 LGD Q3’24 결과 FnGuide 분기표
2024년 4분기 78,329 831 -8,391 LGD Q4’24 결과 더렉: 콜 요약 FnGuide 분기표
2025년 1분기 60,653 335 -2,370 LGD Q1’25 결과 FnGuide 분기표
2025년 2분기 55,870 -1,160 8,908 LGD Q2’25 결과 SEC 6-K(순이익) FnGuide 분기표

밸류에이션 지표(지금 기준, TTM/최근치)

가격에 따라 수치가 변동되는 지표입니다. 아래 값은 최근 공시·시장가격 반영치로, 데이터 출처의 최신 화면을 ‘칩’으로 함께 두었습니다.

지표 메모 출처
PER(TTM) N/A TTM 적자 구간이라 산출 불가 FnGuide 스냅샷
PER(2025E) 약 6.6배 컨센서스 기준 추정치 FnGuide(연간/E)
PBR 약 0.7배 최근 분기 BPS 기준 FnGuide BPS/PBR
EV/EBITDA(TTM) 약 11배 TTM 기준 FnGuide EV/EBITDA
ROE(TTM) 약 -37% 적자 영향 FnGuide ROE
주가·시총(참고) 주가 1.09만~1.12만원대 2025-08-11 근방 Yahoo(시세) Investing(시세)

전망: 무엇이 방향을 가를까

1) OLED 중심 체질 개선의 지속성

회사는 대형·중소형·차량용 전 영역에서 OLED 비중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습니다. 2024년에 OLED 매출 비중이 55%까지 올라왔고, 2025년에도 원가 혁신·운영 효율화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고부가(게이밍 OLED, 초대형·투명·무광 등) 라인업과 4세대 게이밍 OLED 양산은 ASP와 수율에 긍정적입니다. Q2’25 보도자료 Q2’25(EN)

2) 하반기 계절성 + IT·모바일 리커버리

하반기는 TV·모바일 세트의 성수기입니다. IT/OLED 모니터, 모바일(플렉시블·LTPO) 출하가 겹치면 고정비 레버리지가 살아납니다. 일부 분기에서 영업이익이 소폭 마이너스라도, 제품 믹스 개선과 환율·원가 개선이 맞물리면 연간 흑자 전환 확률이 커집니다. Q1’25 보도자료

3) 자동차용(오토모티브) 디스플레이

P-OLED·ATO·LTPS LCD를 묶은 차량용 포트폴리오는 수요가 견조합니다. 단가는 높고, 프로젝트 수주가 장기 고정이라 변동성 완충 역할을 합니다. 전기차 둔화가 있어도 계기판·인포테인먼트 대형화 트렌드는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. Q1’25 보도자료

4) 컨센서스: 하반기 개선 시나리오

증권가 컨센서스는 3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(수천억 규모)을 가정하는 보고서들이 다수입니다. 전방 세트 사이클과 OLED 믹스가 핵심 변수입니다. FnGuide 컨센서스

핵심 결론 요약

한 줄 정리: 최근 4개 분기는 매출 기준 6~7조원 박스에서 움직였고, 수익성은 OLED 비중 확대에 따라 개선·후퇴가 교차했습니다. 2025년 2분기는 영업손실이었지만, 당기순이익이 +8,908억원으로 플러스 전환(일회성 영향 포함)이 확인되었습니다. 현재 밸류는 PBR ~0.7배, TTM PER은 적자라 산출 불가, EV/EBITDA는 약 11배 수준입니다. 하반기엔 성수기+IT/모바일 회복+차량용 안정성이 맞물리면 연간 흑자 전환 시나리오가 유효합니다. 다만 세트 수요 둔화·환율·원가·패널 가격 변수에 따른 변동성은 상수입니다.

반응형